2010년 대구적십자병원이 만성적자로 폐업했습니다. 또 감염병 격리병상 30개를 갖춘 진주의료원도 2013년 강제 폐업의 운명을 맞았죠. <br /> <br />이후 메르스,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나라를 뒤흔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진주의료원이 문을 닫고 지금껏 달라진 것은 별로 없어 보입니다. 적어도 공공의료에 있어선 말이죠. <br /> <br />1월 20일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2월 말부터 대구·경북지역 확진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가용 병상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죠. <br /> <br />확진이 됐어도 병원에 가질 못하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로 인해 전라도 등 다른 지역으로 환자를 이송해야 했고, 심지어 자가격리 중이던 환자가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병원 중 공공병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기준으론 5.68% 정도인데, OECD 24개국 평균 51.8%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2019년 12월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, 전국 17개 시·도 중 울산, 세종엔 공공병원이 아예 없고, 1·2개뿐인 권역도 5곳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[정형준 /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 : 공공의료기관이 지역마다 있어야 그 지역에 적정 진료 수준(치료)을 유지 할 수 있어요. 그리고 재난대비(예방)를 할 수가 있고. 두 가지 측면 때문에 공공의료기관이 꼭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병원만 부족한 것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2016년 기준 의사 수는 인구 천 명당 2.3명으로 OECD 평균 3.3명에 못 미쳤고, 간호사 수도 인구 천 명당 3.5명에 불과해 평균 7.2명의 절반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, 3월 대구·경북 의료진 부족에 전국에서 1,000명이 넘는 자원자가 모였으나, 업무 과중 등의 문제점이 계속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[김수련 / 대구 파견 간호사 : 인력이 너무 없다는 거. 완전히 트레이닝 되기 전에 사람들이 그만두게 되는 거죠. (인력 부족) 때문에 너무 힘드니까. 이렇게 계속 놔두면 트레이닝 된 간호사가 너무 적기 때문에 파견할 수 있는 여유 인력이 없을 거고, 그러면 그걸 또 누가 책임질 거냐는 거예요. 또 피해는 환자들이 뒤집어쓰게 될 거예요.] <br /> <br />그런데 이 와중에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 연구팀은 '코로나19 2차 대유행 예측모델과 대응전략' 보고서를 통해, 4월 30일부터 6월 11일 동안의 평균 R값(1명의 감염자가 전파시키는 2차 감염자 수)은 1.79로, R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62104580891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